《카운트 (2023)》는 1988년 서울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출신이었던 전설의 복싱선수가, 이제는 말보다 주먹이 빠른 생활체육 교사로 돌아와 삶에 찌든 고등학생들과 맞부딪히며 인생의 두 번째 라운드를 시작하는 이야기입니다. 현실적이면서도 유쾌한 톤, 전형적인 스포츠 드라마이지만 ‘사람 냄새’로 차별화를 이룬 작품이에요. ‘뻔한데 웃기고, 웃긴데 가슴 찡한’ 정말 한국 영화가 잘하는 감정선으로 꽉 채워져 있습니다.
줄거리 – 때리는 것보다 지키는 게 더 어렵더라
1988년 서울올림픽 복싱 금메달리스트 박시헌(진선규). 하지만 지금은 전성기의 영광은 사라지고, 지역 고등학교 체육 교사로 살아가는 인물입니다. 직설적이고 욱하는 성격 탓에, 학교에서도 학생들과 마찰이 잦고, “요즘 애들 참 버르장머리 없어!”라는 말을 입에 달고 다니죠.
그러던 중 시헌은 우연히 복싱에 재능은 있지만 무기력하게 사는 문제아 윤우(성유빈)를 만나게 됩니다. 싸움은 잘하지만, 세상과 사람에 대한 믿음이 없는 윤우에게 시헌은 복싱을 통해 삶의 의미와 방향을 알려주려 노력합니다.
하지만 학교 측의 비협조, 체육 예산 삭감, 그리고 학생들의 불신까지. 현실은 호락호락하지 않습니다. 시헌은 가르치던 학생들을 모아 교내 복싱부를 창설하고, 다시 한 번 링 위에 선 ‘지도자’로서 복싱보다 더 힘든 ‘인생 2라운드’를 시작하게 됩니다.
등장인물 – 다 불편하고 모난데, 그래서 더 좋은 사람들
박시헌 (진선규): 전직 국가대표 복싱 금메달리스트. 열정은 넘치지만, 현실 감각은 부족한 아재형 선생님. 진선규 배우 특유의 인간미 넘치는 연기로, 투박하지만 따뜻한 캐릭터를 완성합니다. 말보다 먼저 나가는 주먹, 그리고 그 안의 진심이 영화의 중심축.
윤우 (성유빈): 싸움밖에 모르던 문제아. 시헌을 만나면서 처음으로 ‘누군가를 믿어보는’ 감정을 배웁니다. 복싱을 통해 점차 마음을 열고, 과거의 상처를 마주하게 되는 성장형 캐릭터.
이교장 (고창석): 사사건건 시헌과 부딪히는 학교 관리자. 형식적이고 무책임한 면도 있지만, 나름대로 학교를 지키려는 인물. 후반부엔 의외의 인간적인 면도 보여줍니다.
선화 (오나라): 시헌의 아내이자, 현실주의자. 무모해 보이는 남편을 걱정하면서도 늘 곁에서 응원해주는 따뜻한 존재. 가정 파트의 감정을 책임지는 캐릭터.
복싱부 아이들 (장동주, 고규필, 김민호 등): 처음엔 다들 제멋대로지만, 점차 팀으로 뭉쳐가는 모습이 참 보기 좋습니다. 각자의 사연과 개성이 잘 살아있어, 클리셰이지만 지루하지 않은 포인트.
느낀점과 평론 – ‘뻔한 이야기’를 진심으로 풀어내면 이렇게 된다
《카운트》는 딱 보면 예상 가능한 이야기입니다. 잊힌 전직 스타가 문제아를 만나 새로운 꿈을 꾸고, 그들이 함께 성장하는 이야기. 사실 구조만 보면 전형적인 ‘스포츠 성장물’이죠.
하지만 이 영화가 특별한 건 ‘인물들의 온도’와 ‘연기의 힘’입니다. 진선규는 말 그대로 ‘영화 그 자체’입니다. 이 영화에서 복싱보다 중요한 건 결국 사람을 믿는 힘인데, 그걸 시헌이라는 캐릭터를 통해 너무 잘 보여줍니다.
또한 웃음이 많아요. 전혀 부담스럽지 않게, 현실적인 생활 개그가 계속 터집니다. 교무실 장면, 아이들과의 티키타카, 그리고 고창석 배우와의 ‘기 싸움’까지 웃다가 갑자기 가슴 한 번 콱 쥐어짜는 감정 전환도 능수능란합니다.
음악, 연출, 미장센은 깔끔하게 억제되어 있고, 캐릭터에 모든 초점을 맞췄다는 게 오히려 매력 포인트. 현실의 벽을 넘으려 애쓰는 그 모습이 요즘 세대에도 잘 통할 수 있다고 느꼈어요.
결론 – 8.6/10, 진심이 전부인 복싱보다 뜨거운 이야기
《카운트》는 화려하지 않고, 자극적이지 않으며, 오히려 '지금 내 옆에 있는 사람들과 다시 시작해보자'는 마음을 만드는 영화입니다. 스포츠는 도구일 뿐, 결국 사람 간의 진심이 이 영화의 주제입니다.
많이 웃고, 조금 울고, 보고 나면 마음이 따뜻해지는 영화. 너무 특별할 것도 없지만, 그래서 더 오래 남는 이야기예요.
개인 평점: 8.6 / 10
추천 대상: 인물 중심 영화 좋아하는 분 / 성장 드라마 좋아하는 분 / 진선규 배우 팬
주의 사항: 스포츠 장면의 박진감보다는 사람 이야기 중심이므로 ‘스포츠 액션’ 기대하신 분께는 아쉬울 수도 있습니다.